본문 바로가기
PHILINNOVATOR | 전과 다른 당신 - '부속지의 진화' 기록 두 번째, 전과 다른 당신 - ‘부속지의 진화’ 나 그리고 당신을 위한 ‘초연결 시대의 현자 되기’ 프로젝트! 21세기 혼란스러운 초연결 사회에서 중심을 잡고 지혜롭게 살아가기 위한 내용들을 담아 돌아온 ‘필리노베이터’입니다. 이번 달에는 지난달에 소개한 것과 같이 모든 것이 연결되고 확장되는 초연결 사회로 오기까지 우리가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부속지의 진화’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부속지란 무엇일까요? 부속지(appendage)란 유기체의 몸 밖으로 돌출되거나 연장된 몸의 일부를 말합니다. 이 부속지의 역할은 참 다양합니다. 우리가 다리를 사용하여 걷듯이 먼저는 이동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동물은 식물과 달리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외부로부터 얻습니다. 따라서 먹잇감을 찾아 이동해야만 생존이 가능합.. 2021. 7. 21.
클라우드 A to Z | 가상화 그리고 SDDC vs Cloud 가상화와 클라우드, SDDC의 이해 가상화는 IT 인프라 자원의 활용도와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로, SDDC와 Cloud를 구성하는 기본 구성요소의 전제조건입니다. SDDC는 플랫폼이고 Cloud는 서비스인데, 인프라를 제공하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개발 플랫폼을 제공하는 PaaS(Platform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모두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는 방식입니다. 이런 클라우드 서비스를 효율적이고 매끄럽게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기술이 바로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센터(Software Defined Data Center, SDDC)입니다. 가상화 기술은 1960년대 UNIX.. 2021. 7. 21.
엑기스 | 빅데이터 플랫폼 NiFi의 구성과 활용 NiFi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간 데이터 흐름을 자동화하도록 설계된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입니다. 과거 NSA에 의해 개발되었고, 2014년 기술 전송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오픈소스화된 나이아가라파일즈(NiagaraFiles)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NiFi는 Dataflow를 쉽게 개발할 수 있고, 시스템 간 데이터 이동 및 내용을 볼 수 있는 UI를 제공합니다.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고, 여러 NiFi시스템 간 통신을 지원(site to site)합니다. 강력한 자원과 권한 관리를 통해 Multi-tenant를 지원합니다. 오픈소스로 사용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NiFi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유리하지만, 복잡한 연산이 어려워 spark 또는 st.. 2021. 7. 21.
혁신스토리 | 창조의 지름길, 파괴적 혁신 지금 많은 기업에게는 혁신을 통해 새로운 제품을 만들고, 더 나은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까다로운 경쟁업체로부터 보호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기존 사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파괴적 혁신'과 그 사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파괴적 혁신이란? : 기존의 시장 질서를 파괴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전략 하버드 경영 대학원 교수인 클레이튼 크리스텐슨은 15년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그의 저서인 "혁신기업의 딜레마"에서 혁신의 유형을 구분했습니다. 그의 저서에 따르면, 파괴적 혁신(Distruptive Innovation)은 덜 까다로운 고객들을 대상으로 간단하고 편리하며 저렴한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기존 시장의 질서를 파괴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혁신을 의미합니다.. 2021. 7. 21.
엑셈 인사이트 | 금융 클라우드도 역시, CloudMOA 클라우드 관련 뉴스를 접하다 보면, 심심치 않게 이런 표현들을 마주한다. 'A사, 금융권 사상 첫 XX 시스템 클라우드 기반 구축 완료' 'B은행, 클라우드 도입 속도 박차' 'C투자사, 클라우드로 금융 혁신 추진' 이런 소식들처럼, 2021년은 금융권에 전면적 클라우드 도입이 확산되는 한 해가 되어 가고 있다. 주목할만한 금융권의 클라우드 흐름 지난 6월 NH농협은행은 3개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표준사업자를 선정했다. 사업자 선정은 중요 업무 부문과 비중요 업무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KB국민은행 또한 클라우드 운영 통합 사업자로 'KB데이타시스템'과 '메가존 클라우드'를 선정했다. 기존 KB국민은행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비롯하여 AWS, MS 애저, GCP 등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해왔.. 2021. 7. 21.
엑셈 뉴스룸 | 대한민국 남쪽까지, 엑셈 남부사무소 오픈! 지난 7월 15일, 엑셈 남부사무소 이전 개소식이 열렸습니다. 위치는 바로 나주 빛가람 혁신도시! 왜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나주 빛가람 혁신도시)인가요? 2017년 ‘KEPCO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 사업 이후 엑셈이 다수 사업을 수행 중인 한전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전KDN의 본사가 위치한 곳이기도 한 나주 빛가람 혁신도시는 에너지신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었을 뿐 아니라, 최근 ‘에너지 밸리 조성 고도화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어 국내 에너지 신사업의 거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16개 주요 공공기관이 밀집되어 있어 빅데이터를 비롯한 엑셈 솔루션들의 다수 사업 기회가 예상됩니다. 엑셈은 남부사무소 개소를 발판으로 공공 에너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예정인데요... 2021. 7. 21.
엑셈, 나주 혁신도시에 남부사무소 개소...공공 빅데이터 사업 ‘박차’ 엑셈, 나주 혁신도시에 남부사무소 개소...공공 빅데이터 사업 ‘박차’ 한전, 에너지공단, 에기평에서 인정받은 에너지 빅데이터 전문성으로 한국판 뉴딜 시장 공략 빅데이터 통합관리 솔루션 ‘플라밍고’ 통해 하둡 에코 시스템 최적 지원 DBMS, End-to-End 거래 추적, 클라우드 환경 관제, AIOps 솔루션의 호남 공급 확대도 기대 엑셈(대표 조종암)이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나주 빛가람 혁신도시)에 남부사무소를 이전 개소하고, 15일 개소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엑셈은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에너지 분야를 비롯한 공공 빅데이터 사업에 탄력을 가한다는 계획이다. 나주 빛가람 혁신도시는 2020년부터 4년간 에너지신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었을 뿐 아니라 최근 ‘에너지밸리 조성 고도화 사.. 2021. 7. 16.
엑셈, 에기평과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AMI 데이터 유통 플랫폼 개발 과제 협약 체결 엑셈, 에기평과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AMI 데이터 유통 플랫폼 개발 과제 협약 체결 한전, 에너지공단 등에서 인정한 AMI 데이터 최적화 기술로 AMI 활용의 기준 체계 정립 AMI 보급 확대 따른 에너지 수요 관리 시장 기회 가속화도 기대 엑셈(대표 조종암)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시행하는 ‘2021년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의 ‘주택 에너지 사용량(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데이터 유통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 과제 수행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엑셈이 담당한 세부 과제 기준 총 36개월 간 15억 원 규모이다. 이번 과제는 주택에 보급 중인 AMI(지능형 검침 인프라)로부터 주택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공유하는 빅데이.. 2021. 6. 23.
PHILINNOVATOR | 그래서 '초연결'이 도대체 뭔가요? 기록 첫 번째, 그래서 '초연결'이 도대체 뭔가요? 나 그리고 당신을 위한 ‘초연결 시대의 현자 되기’ 프로젝트!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간과 로봇이 연결되는 하루하루 다이내믹한 요즘! ‘공자, 맹자… 현자?’라고 의아해 할 수 있겠지만, 이 시대의 사려 깊은 누군가를 표현해줄 딱 한 단어, ‘현자’ 그 이상의 단어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현자(賢者)란 어질고 총명하여 성인에 다음가는 사람이라고 정의합니다. 21세기 혼란스러운 초연결 사회에서 중심을 잡고 지혜롭게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앞으로 한 달에 한번 'NOW엑셈'에서 소개되는 필리노베이터를 따라와 보세요. 2008년 처음으로 표현된 초연결 사회 ‘바야흐로 초연결 사회이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초연결 사회를 더욱 발전시키고.. 2021. 6. 23.